
2024 전남대학교 인권서포터즈
대학교 1학년 때 교양 수업인 ‘현대인권과 법’을 수강하며 인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관련 지식과 시야를 확장하고자 2024년 대학생 인권서포터즈로 활동했습니다. 서포터즈로서 인권센터 홍보 영상을 직접 기획하고 출연했으며, 세계인권도시포럼에도 참여해 다양한 문화와 사회적 배경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습니다.
① 공모전 수상
2024년 제12회 광주광역시 인권작품 공모전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술 중 ‘딥페이크’로 인한 인권 침해 문제와 대응 방안을 주제로 4컷 카드뉴스를 기획·제작하여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카드뉴스에는 딥페이크의 정의, 악용 사례, 예방 및 대응 방안을 시각적으로 구성해 인권 감수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습니다.
수상작은 광주광역시의 인권 교육 및 홍보자료로도 활용되었습니다.
② 온라인 폭력예방교육 홍보 콘텐츠 제작
전남대 인권센터 SNS 홍보 콘텐츠 제작 활동의 일환으로, 학생 대상 온라인 폭력예방교육 이수 독려 카드뉴스를 기획·제작했습니다.
교육 이수자들에게 ‘인권존중’ 4행시를 작성해 제출하도록 유도했으며, 우수 참여자에게는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방식으로 총 12명의 참여를 이끌어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전남대 인권센터 및 전남대학교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업로드되었습니다.
③ 인권 행사 참여
10월 25일: 전남 여수 ‘거기책방다섯’에서 열린 북토크
(주제: 『기후위기 시대에 춤을 추어라』 / 발표자: 이송희일 감독 / 주최: 전남대 5·18연구소)10월 29일: ‘2024 함께하는 시민 인권강좌’ 참여
(주관: 전남대 법학연구소 공익인권법센터 / 연사: 나백주 건강네트워크 공동대표 / 주제: 건강권과 시민의 역할)
④ 전남대 인권센터 숏폼 콘텐츠 제작 활동
2024년 11월에는 전남대학교 인권센터 주관 숏폼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에브리타임 익명성 문제와 온라인 성인지 감수성’을 주제로 기획 회의를 진행하고, 기획안 및 대본을 작성했습니다. 또한 영상에 출연하였으며, 전남대학교 인권센터 공식 인스타그램에 영상이 업로드 되었습니다.



